정품 윈도우가 설치된 노트북을 교체할 경우, 기존의 정품 라이선스를 새 노트북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 여부는 윈도우 라이선스 유형에 따라 다릅니다.
1. OEM 라이선스 vs. 리테일 라이선스 확인
먼저, 기존 노트북의 윈도우 라이선스가 OEM인지 리테일인지 확인해야 합니다.
- OEM(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)
- 노트북 제조사가 미리 설치한 윈도우
- 노트북의 메인보드와 묶여 있어 다른 PC에서 재사용 불가능
- 대부분의 브랜드 노트북(삼성, LG, HP, 델 등)은 OEM 라이선스
- 만약 노트북이 망가져도 새 노트북에 라이선스를 이전할 수 없음
- 리테일(Retail) 또는 볼륨(Volume) 라이선스
- 사용자가 직접 MS 스토어나 오프라인에서 구매한 라이선스
- 새 노트북으로 이전 가능
- 마이크로소프트 계정(MSA)과 연결되어 있다면 로그인 후 정품 인증 가능
라이선스 유형 확인 방법
- 명령 프롬프트(CMD)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
- 다음 명령어 입력
slmgr /dli
- "OEM" 또는 "Retail"인지 확인
- OEM DM → OEM 라이선스 (이전 불가)
- Retail → 리테일 라이선스 (이전 가능)
2. OEM 라이선스라면? (이전 불가)
- 새 노트북에 정품 윈도우가 포함되어 있다면 문제없음
- 포함되지 않았다면 새로 윈도우를 구매해야 함
- 기존 노트북에서 정품 키를 추출하여 입력해도 활성화되지 않음
3. 리테일 라이선스라면? (이전 가능)
① 마이크로소프트 계정(MSA)과 연결된 경우
- 기존 노트북에서 윈도우 라이선스 해제
slmgr /upk
- 새 노트북에서 MS 계정으로 로그인 후 "정품 인증 문제 해결" 실행
- 자동으로 정품 인증됨
② MS 계정과 연결되지 않은 경우 (정품 키 직접 입력)
- 기존 노트북에서 정품 키 확인
wmic path softwarelicensingservice get OA3xOriginalProductKey
- 새 노트북에서 정품 키 입력
- 설정 → 업데이트 및 보안 → 정품 인증 → 제품 키 변경
4. 윈도우 10/11 디지털 라이선스
만약 윈도우 10 또는 11을 사용 중이라면, 하드웨어 변경 시 자동 인증 기능이 있을 수 있습니다.
- 새 노트북에서 MS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자동 인증될 가능성 있음
- 그래도 인증이 안 되면 MS 고객센터(☎ 1577-9700) 문의하여 라이선스 이전 요청 가능
📌 결론
- OEM 라이선스 → 새 노트북에서 사용 불가
- 리테일 라이선스 → 새 노트북에서 사용 가능 (MS 계정 또는 제품 키 활용)
- 확실하지 않다면 명령어(slmgr /dli)로 확인
노트북을 새로 구매할 때 윈도우 포함 여부를 확인하고, 필요하면 정품 키를 구매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.
'IT,전자기기,PC,모바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크랭크 샤프트랑 캠 샤프트가 뭐야 (0) | 2025.03.20 |
---|---|
프린터 설치 드라이버를 설치했더니 exe 파일인데 zip 같은 압축파일로 못바꾸는지, 또는 압축프로그램으로 실행 할수있는지 (0) | 2025.03.20 |
9600X vs 9700X 비교 & 가성비 판단 (1) | 2025.03.19 |
윈도우11인데 제어판을 사용자 계정 계정 관리 계정 변경 암호 만들기를 하려는데 실패해 암호를 변경할 수 없습니다. 라고 뜬다면 (0) | 2025.03.19 |
Edifier MR3 Edifier MR4 Edifier M60 차이 (0) | 2025.03.19 |